Data Architecture

[Data Architecture] 전사아키텍처 이해 (2) - 아키텍처 도메인, BA, EA 관리시스템

Dong538 2021. 12. 6. 01:29

1. 아키텍처 도메인: 일반적으로 업무,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기술의 아키텍처로 구성된다. 관리하고자 하는 정보 유형에 따라 추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범정부 아키텍처 매트릭스에 '보안'아키텍처를 추가로 정의한다. 

 

2. 비즈니스 아키텍처 (Business Architecture, BA): 기업의 미래 비전을 달성하기 위한 정의를 포함하고 비즈니스 아키텍처의 수준에 따라 데이터 및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 수준이 결정된다. 그러므로 BA를 먼저 정의하고 BA를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아키텍처를 정의해야 한다. 

BA에서 정의된 산출물은 상호연관성을 가지며 DA,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Application Architecture, AA), 기술 아키텍처(Technical Architecture, TA)에 반영하고 전사 차원에서 통합적인 아키텍처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3. EA 관리시스템은 EA 정보를 모델링하는 정보 정의 도구 영역과 EA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정보 관리 영역, EA 정보 활용 영역을 모두 포함한다.

EA 도입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EA 정보를 구축할 때부터 변화관리를 계획하고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효과적인 EA 관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정의된 EA 조직체계, 프로세스체계를 문서화하여 전 조직이 준수할 수 있도록 제도화해야 한다. 또한 EA 관리체계를 주기적으로 점검하여 개선점을 도출하여 반영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아울러 EA 관리시스템을 활용도와 만족도를 주기적으로 점검하여 시스템의 품질을 지속적으로 개선해나가야 한다. 또한 EA 관련 제반 이해당사자들의 EA 인지도 향상 및 업무수행 시 EA 정보 활용도 증진을 위해서 적절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 

 

 

 

 

-- 21 - 30번